[임원칼럼-최미화 대구일보 편집인 겸 이사 편집국장] 문향 만리) 하얀 레퀴엠 / 김나비 > 임원진 칼럼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사 가입      

임원진 칼럼

[임원칼럼-최미화 대구일보 편집인 겸 이사 편집국장] 문향 만리) 하얀 레퀴엠 / 김나비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296회 작성일 2024-12-19 09:56

본문

숨소리가 구워지고 연기가 차오르면/ 머리 푼 두려움이 온몸을 휘감아요/ 누구의 노래일까요, 뜨겁게 피는 동백은// 삶의 미련이 만개해도 밖으론 나갈 수 없죠/ 쿨럭이는 리듬을 명치에 쟁여두고/ 늑골에 고인 기억은 건반처럼 눌러봐요// 바람은 매운 침묵의 음역을 넘나들겠죠/ 이유도 없이 후렴처럼 따라붙는 죄의 이름/ 붉은 꽃 툭 떨어지면 흔적 없이 지워질까요// 굴속은 안온한 덫 하얀 올무가 피어나죠/ 휘영청 달빛 아래, 섬 그늘이 먹피 흘리면/ 새까만 다랑쉬굴에 아픈 선율이 익어가죠
『가람시학』(2024, 제15호)
「하얀 레퀴엠」은 시조로 쓴 위령곡이다. 이 작품의 배경은 제주 4·3사건이다. 묘한 호소력을 가진 시편이다. 숨소리가 구워지고 연기가 차오르면 머리 푼 두려움이 온몸을 휘감는다고 한다. 숨소리조차 구워지다니 이 무슨 변고인가? 그러면서 화자는 개화를 바라보면서 누구의 노래일까요, 뜨겁게 피는 동백은, 이라고 반문하고 있다. 동백이 뜨겁게 필 수밖에 없는 연유가 잘 드러나고 있다.

이 얼마나 가슴 저미는 일인가? 삶의 미련이 만개해도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고 노래한다. 정말 그렇다. 영영 불가능한 일이다. 쿨럭이는 리듬을 명치에 쟁여두고 늑골에 고인 기억은 건반처럼 눌러보라고 말한다. 바람은 매운 침묵의 음역을 넘나들겠지만, 이유도 없이 후렴처럼 따라붙는 죄의 이름이 붉은 꽃 툭 떨어지면 흔적 없이 지워질 것인지 다시 묻는다. 절박하고 통탄스러운 질문이다. 애당초 답이 없는 물음이다. 화자는 굴속은 안온한 덫 하얀 올무가 피어난다고 하면서 휘영청 달빛 아래 섬 그늘이 먹피 즉 멍들어 검게 죽은 피를 흘리면 새까만 다랑쉬굴에 아픈 선율이 익어가고 있다고 진술한다. 「하얀 레퀴엠」은 제주4·3사건과 관련된 최근 시조 중에 오래도록 눈길이 가는 작품이다.

김나비 시인은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합목리’라는 시조를 통해 노래하고 있다. 합목리는 충북 진천군 산수산업단지 근처 중앙아시아 출신 노동자들이 사는 곳이라고 한다. 젖은 발소리 끌며 어둠이 스며드는 밤 무거운 하루 짊어진 사람들이 돌아오면 삐거덕, 달방 쪽문이 하나씩 열린다. 곤한 냉장고 소리가 진한 고요를 삼키고 얇은 벽 사이에 두고 익어가는 다국적인 밤하늘엔 각자의 꿈이 빼곡하게 반짝이는데 수많은 언어로 풀어놓는 잠꼬대 속 익지 못한 이야기들이 뒤척이며 코를 골고 달빛이 고향 소식을 살며시 부려놓는다. 이렇듯 애절한 시편이다.

요즘은 다문화 시대다. 지구촌 곳곳에서 온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세상이다. 서로 돕고 살피며 어우러져 살아가야 한다. ‘합목리’라는 시조가 그것을 잘 일러주고 있다.
이정환(시조 시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034건 10 페이지
임원진 칼럼 목록
제목
899
898
897
열람중
895
894
893
892
891
890
889
888
887
886
885
게시물 검색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프레스센터 1311호   전화: 02-723-7443   팩스: 02-739-1985
Copyright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All rights reserved.
회원사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