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홍찬식/6월7일]붐비는 논술학원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횡설수설/홍찬식/6월7일]붐비는 논술학원

작성일 11-06-07 09:32

페이지 정보

조회 9,594회 댓글 0건

본문


donga%20hong.JPG\"



대학입시에서 논술고사가 정착되기 시작한 것은 1997년 본고사가 폐지되고 나서였다. 교육당국은 사교육비 증가의 주범이라는 이유로 대학별 본고사를 없애면서 예외적으로 논술고사는 허용했다. 그러나 논술은 별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대학들은 주로 수능 성적을 보고 신입생들을 뽑았기 때문이다.



▷2008학년도 입시부터는 사정이 달라졌다. 노무현 정부가 2004년 발표한 ‘2008년 대입제도 개선안’은 수능 성적을 등급만 제공하고 내신을 상대평가로 바꾸는 내용이었다. 입시에서 수능의 영향력이 크게 감소하고 내신 비중이 늘어났다. 하지만 대학은 내신을 믿지 않았다. 같은 내신 성적을 받은 학생이라도 지역마다 학력 격차가 컸다. 수능, 내신, 논술 세 가지 전형요소 가운데 논술의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었다. 수험생들은 그렇다고 수능과 내신 준비에 소홀할 수도 없었다. 사교육비를 크게 증가시켰던 이른바 ‘죽음의 트라이앵글’이었다.



▷논술학원들이 다시 호황을 맞고 있다. 지난주 치러진 수능 모의평가가 쉽게 출제되면서 올해 수능도 ‘쉬운 수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올해 초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과목별 만점자가 1% 정도 나오도록 수능을 쉽게 내겠다”고 공언한 대로다. 논술학원들은 모의평가 이튿날부터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이미 마감된 강좌에는 대기표까지 등장했다. ‘물 수능’이 되면 수능 성적을 잘 받아도 고득점자들이 양산돼 명문대 진학이 불투명해진다. 논술을 위주로 뽑는 수시모집에 지원하는 학생이 많아져 논술학원이 인기를 끌 수밖에 없다.



▷논술이 전형요소로서 신빙성과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수험생의 논술 성적이 대학 입학 후 학업 성적과 상관관계가 낮고 같은 논술 답안지를 채점해도 어떤 교수는 높은 점수를, 다른 교수는 아주 낮은 점수를 주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가 사교육비 억제를 노리며 한쪽을 겨냥해 정책을 펴면 언제나 다른 쪽 영역에서 사교육 수요가 불거져 나왔다. 논술 사교육은 단가가 비싸다. 역대 ‘물 수능’은 예외 없이 극심한 눈치작전 등 입시 혼란을 초래했다. 올해 대학입시가 걱정스럽다. 정부는 뒷감당을 할 자신이 있는지 궁금하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전화: 02-723-7443   팩스: 02-739-1965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25 한국프레스센터 1311호
Copyright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