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칼럼-임성원 부산일보 논설실장] 블록체인에 자치분권의 길 있다 > 임원진 칼럼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사 가입      

임원진 칼럼

[회원칼럼-임성원 부산일보 논설실장] 블록체인에 자치분권의 길 있다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482회 작성일 2021-11-15 10:57

본문

4일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열린 'NFT 부산 2021'에서 관람객들이 NFT(대체불가능토큰)로 발행한 예술작품들을 감상하고 있다. 연합뉴스 


‘2030’이 주가를 올리고 있다. 대중문화·상품 시장에서 ‘소비자 왕’으로 떠오른 지는 이미 오래고, 상대적으로 열세를 면치 못했던 정치 시장에서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다. 지난 4·7 보궐선거에서 상승의 모멘텀을 잡은 2030 세대는 내년 3·9 대선을 앞두고 거침없이 자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치권이 절절매며 ‘2030’ 앞에서 머리를 조아리는 형국이며, 이참에 피선거권자의 나이를 확 낮춰 정치의 주류로 떠오를 기세다.

이미 주류를 형성한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소비자 왕으로서의 진면목을 굳혀 가는 중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이 내년 가상자산 시장 과세를 유예하겠다며 몸을 납작 엎드리고 있기 때문이다. “소득 있는 곳에 과세 있다”는 원칙론을 내세운 정부만 갈수록 외로운 처지다. “여야 합의로 국회에서 법도 통과시켜 준 걸 1년 뒤에 와서 정부 보고 하지 말라고 하면…”이라고 볼멘소리를 하지만 대세를 거스를 수 있을지 두고 볼 일이다.

탈중앙화·분산 가속하는 블록체인

가상화폐·메타버스 신세계 열어

2030 세대는 사회 주류로 부상

‘NFT 부산 2021’ 성공적 개최

블록체인 성지 자리매김한 부산

지방분권형 민주주의 기대 키워

사실 중앙정부로서는 가상화폐의 부상을 마냥 두고만 볼 일은 아닐 터이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 총재의 도장이 찍힌 화폐가 아니라 자기들끼리의 약속인 ‘블록체인(Block Chain)’을 바탕으로 화폐의 탈중앙화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상화폐의 등장은 중앙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지기에 십상이다. 주식시장의 거래 규모를 뛰어넘는 등 가상화폐가 약진하면서 전 세계 중앙정부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 유럽연합 영국 등 곳곳이 저마다의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디지털화폐(CBDC) 연구에 열을 올리는 것은 가상화폐의 장악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일 것이다.

블록체인은 권위 혹은 권력의 생산 방식이 이전과는 달라졌다는 것을 보여 준다. 왕이든 대통령이든 ‘중앙’이라는 이름으로 권위와 권력을 휘두르는 중앙집권과 달리 사용자들의 거래내역(Block)을 네트워크로 연결(Chain)한다는 점에서 자치분권을 떠올리게 한다. 블록(지방)과 체인(연합)이 만난 블록체인은 분권형 연방제 국가와 닮아 있다. 가상화폐의 등장은 탈중앙화와 분산이 시대정신이라는 사실을 새삼 웅변한다.

부산이 2019년 8월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것은 부산의 앞날에 서광을 비추는 축복이 아닐 수 없다. 가상자산, 메타버스, NFT(대체불가능토큰) 등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신세계에 부산이 먼저 들어가는 티켓을 손에 거머쥔 것이나 다름없다. 비전과 확신을 갖고 이 미지의 세계에 한 발 한 발 내딛다 보면 이 엄혹한 ‘지방소멸의 시대’에 부산이 그토록 염원하던 ‘탈중앙화와 분산의 메카’에 어느덧 도달해 있을지도 모른다.

지난 4~6일 벡스코에서 열린 ‘NFT 부산 2021’은 ‘블록체인 성지’ 부산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2030’의 열기가 넘쳐나는 가운데 입구에서 왼쪽에는 경매장, 오른쪽에는 특별관·체험관이 열려 눈길을 끌었다. 경매장에서는 가상인간(Virtual Human), 특별관에서는 NFT 예술품이 각각 거래되고 체험관에서는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을 경험할 수 있었다. 콘텐츠와 지불 방식이 달라진 거래의 신세계를 선보였다.

국내에서 열린 블록체인 관련 첫 대규모 행사이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 있었던 건 수도권에 있는 유수의 블록체인 관련 기업들이 잇따라 부산으로의 이전을 선언하고, 지역 인재 채용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신세계를 열어 갈 새로운 기술을 장착한 데다 젊은이들까지 부산으로 불러모으겠다니 ‘노인과 바다’라는 오명으로 자존심을 구긴 부산으로서는 가슴 벅찬 일이 아닐 수 없다.

부산이 ‘블록체인 특구’를 구가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뉴욕과 마이애미가 ‘가상화폐 수도’를 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친(親) 가상화폐’ 정책 덕분에 관련 스타트업, 벤처기업, 거래소 등이 몰려들고 있는 마이애미가 한발 앞서지만 뉴욕의 도전이 만만치 않다. 재선에 성공한 프랜시스 수아레스 마이애미 시장이 “임기 첫 월급을 100% 비트코인으로 받겠다”고 하자 에릭 애덤스 뉴욕시장 당선인은 “취임하면 첫 3개월 급여를 비트코인으로 받겠다”고 맞받았다. 그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을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아트페어가 발달한 항구도시 뉴욕과 마이애미의 시장을 본받아 ‘블록체인 특구’ 부산의 시장도 월급을 비트코인으로 받을 용의는 없는가.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를 가속한다. 정부·중앙은행 등 이른바 ‘중앙’의 통제 없이 인터넷만 연결되면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디파이(De-Fi, 탈 중앙화 금융)가 대표적이다. 블록체인은 수도권 일극화를 막아 지방을 살리고, 중앙집권이 아니라 지방분권형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무기가 되었다. 블록체인에 자치분권의 길이 있다.

원문보기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11111850027185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807건 1 페이지
임원진 칼럼 목록
제목
807
806
805
804
803
802
801
800
799
798
797
796
795
794
793
게시물 검색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프레스센터 1311호   전화: 02-723-7443   팩스: 02-739-1985
Copyright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All rights reserved.
회원사 링크